1. 해부학 용어
1) 해부학적 자세
사람이 바로 선 상태에서 얼굴과 눈이 정면을 향한다. 팔은 자연스럽게 내리고 손바닥이 앞을 향하게 하여 두 발은 앞을 향하게 하고 발끝은 조금 벌린 채 똑바로 서 있는 자세를 말한다.
2) 인체의 면
정중면(정중 시상면) : 인체를 좌 우 대칭이 되게 나눈 면이다.
관상면 : 인체를 앞 뒤로 나누는 면이다.
수평명 : 인체를 위아래로 나누는 면이다.
시상면 : 정중면에 평행한 면이다.
3) 관절운동의 용어
굴곡은 관절의 각을 줄여 굽히는 운동이며 신전의 관절의 각을 크게 해 펴는 운동 과신전은 신전이 해부학적 자세보다 더 편은 운동이다 어깨 대퇴관절에서 볼 수 있다. 내전은 정중면에 가까이 오는 운동이고 외전은 정중면에서 멀어지는 운동 회선은 국곡, 신전, 내전, 외전의 연속된 운동이다. 회내 손등이 앞쪽을 향하게 운동이고 회외 손바닥이 앞쪽을 향하게 하는 운동이며 내반 발바닥을 안으로 드는 운동 외반은 발바닥을 밖으로 드는 운동이다.
2. 인체의 구성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 : 세포, 세포사이 물질, 체액(체중의 6~70%)
세포의 형태 : 주로 원형, 다각형, 입방형, 원주형, 편평형, 입방형
세포분열과정 : 간기-전기-중기-후기-종기 (간기에는 세포분열이 일어나지 않는다.)
1) 세포 : 인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단위, 세포는 모양, 크기, 수명, 기능이 전부 다르다.
세포의 구성
세포질 : 세포막과 핵사이에 있는 물질이다.
핵 막 : 핵을 싸고 있는 막이다.
핵형질 : 단백질이 주성분인 콜로이드 상태이다.
염색질 : 단백질 및 DNA라고 하는 핵상과 세포분열시 염색체를 만든다.
핵소체 :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RNA를 만든다.
세포의 종류
상피세포, 결합조직세포, 근육세포, 신경세포
세포의 수명
적혈구 : 약 120일 백혈구 약 10~13일
중추신경(신경세포) 세포 분열을 하지 않는다.
세포분열이 활발 : 세포의 수명이 짧다.
2)조직 : 세포들이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모인 집단이다.
상피조직, 지지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으로 나눈다.
3) 기관 : 몇 개의 다른 조직이 모여 이루어진 것이다.
4) 계통 : 유사한 기능을 하는 기관이 모여 이루어진 것이다.
3. 골격계
골 - 총 206개
골막 : 뼈를 보호하고 혈관 신경 림프관 근육 힘줄이 붙는 자리를 제공한다. 골절 시 뼈를 재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골조직 : 뼈를 이루는 실질조직
해면뼈 : 스폰지 모양의 엉성한 조직
치밀뼈 : 치밀한 조직
골수 : 혈구 생산
골의 구성물질
무기질 : 뼈의 단단한 성질, 견고성, 간결성, 성인에게 많다.
유기질 : 뼈의 질긴 성질, 탄력성, 강인성, 아동에게 많다.
골의 형태
장골 : 대퇴골(신장의 1/4), 상완골
단골 : 수근골, 족근골
편평골 : 두정골, 견갑골, 늑골, 흉골
불규칠골 : 척추골, 관골
골의 발생과 성장
막 골화 : 굵기의 성장, 두개골이다.
연골골화 : 길이의 성장, 두개골 이외의 뼈이다.
연골의 특징은 단백질로 구성되고 혈관과 신경분포가 없다. 칼슘 침착 없다. 초자연골은 늑연골 기관 뼈의 관절면 후두 코
탄력연골 외이 후두개 이개 섬유연골은 추간원판 치골결합 슬관절의 관절원판이다.
4. 림프계
림프는 모세혈관벽을 통해 조직에 스며 나온 혈액 성분이다. 림프관은 혈관계통에서와 같은 동맥계는 없고, 상대정맥을 통하여 흘러 들어가는 일방적 통로이다. 말단조직과 기관 막힌 관 모세림프관에서 시작이 되며 벽이 얇고 판막을 가지고 있다. 림프기관은 림프절과 비장 흉선 편도가 있다. 림프절은 림프를 걸러내는 일이고 항체를 만드는 일이며 림프구에서 생산한다. 겨드랑이, 서혜부, 목 옆, 복대동맥 쪽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비장은 좌상복부에 위치하고 검붉은 타원형이다. 흉선은 흉골병 뒤에 위치하고 림프구 생산 및 항체 생산과 면역작용 편도는 림프구 생산 신체를 방어하는 중요기관이다.
5. 내분비계
전신에 산재적으로 존재하여 호르몬을 직접 혈류로 분비하거나 관을 통해서 직접 장관이나 피부에 분한다. 단독 내분비선은 퇴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송과체 부신이 있다 혼합 내분비선은 췌장과 성선이 있다.
내분비선의 종류로는 뇌하수체가 잇는데 가장 중요한 내분비선, 전엽, 후엽으로 구성된다.
전엽 호르몬의 성장 호르몬은 골의 형성과 성장, 3대 영양소의 대사 분비항진(거인증, 발단비대증-성장 후) 분비저하(난쟁이)등이 있다. 갑상샘자극 호르몬은 갑상선에서 티록신 분비 촉진하며 부신피질자극 호르몬은 부신피질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
후엽호르몬의 옥신토신은 자궁벽의 평활근 수축(분만 촉진), 유선 수축시켜 유즙분비 촉진하며 바소프레신(항이뇨호르몬) 혈압상승 세뇨관의 수분 재흡수 촉진한다. 분비과다(핍뇨증), 분비저하(요붕증) 과량 소변배출: 5000cc/일 이상이다.
감상샘은 티록신 인체의 기초대사율 조절,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에너지다.
6. 신경계
신경원 : 흥분성과 전도성을 갖는 신경계의 구조절 기능적 기본단위
세포체 핵과 세포소기관과 닛슬소체가 있다. 수상돌기는 자극 받아들이 곳이며 축삭은 자극을 전달하는 곳이다 신경계의 자극전달은 나트륨이온과 칼륨이온이 세포막의 분포 변화로 이루어진다.
1)뇌
대뇌의 시각, 청각, 지각, 후각, 운동중추가 있다 기능은 인체의 행동과 감정을 조절한다.
소뇌는 후두부에 위치하여 기능은 대뇌 운동중추를 도와 골격근의 활동조절과 자세 유지, 근육의 평형과 긴장유지 무의식적인 운동 조절이 있다. 간뇌는 시상 시상하부(체온조절중추), 송과체로 구성되어 있고 중뇌는 교와 간뇌 사이에 위치하여 있다. 교뇌는 중뇌와 연수를 연결하고 연수는 호흡 심장 혈관운동 연하 구토중추가 있으며 뇌 중 가장 아래에 있다.
2) 척수
40~45cm, 연수에서 제1~2 요추에 위치하며 운동신경로와 감각신경로가 있다. 외부의 자극을 뇌로 전달하고, 뇌의 자극을 각 기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간호학 병원실기 (0) | 2023.02.10 |
---|---|
피부장애 대상자 간호와 청각 장애 대상자 간호 (0) | 2023.02.10 |
호흡기계 장애 대상 간호 (0) | 2023.02.09 |
공통 간호 종양환자와 통증환자 간호 (0) | 2023.02.08 |
현대 간호의 의미와 직업윤리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