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간호학21

간호조무사가 하는 일과 자격증을 따기 위한 방법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따면 할 수 있는 업무는 각종 의료기관에서 의사 또는 간호사 지시 하에 환자의 간호 및 진료에 관련된 보조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생깁니다. 간호조무사 자격증이 없이 이런 업무를 할 경우 불법입니다.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따기 위한 응시자격 간호조무사가 되기위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교육과정을 훈련하는 간호조무사 교육훈련기관에서 740시간이상의 학과교육과 교육기관의 장이 실습교육을 위탁한 의료기관에서 780시간 이상의 실습을 이수해야합니다. 실습시간에서 종합병원이나 병원에서의 실습시간은 400시간 이상 실습을 인정받아야하며, 조산원 제외됩니다. 이외에 더 자세한 자격 조건은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사이트의 메인메뉴 시험정보 > 직종별 시험정보 > 간호조무사 선택하면 간호조무사 시.. 2023. 3. 27.
환경보건 이해와 정의 1. 환경위생의 정의(WHO) 인간의 성장과 건강 및 생존에 있어 악영향에 미칠 가능성이 있는 물리적 생활환경에서 모든 요소를 제재 또는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2. 쾌적한 환경요소 1) 쾌적한 환경을 위한 요소는 환기, 습도, 온도, 소음방지, 문화시설 등으로 여기서 환기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군집독을 방지한다. 2) 실내 자연환기의 원동력은 기체의 확산과 실내외의 온도차이, 기압차, 기류 등이 있다. *냉방병은 냉방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로 인한 스트레스가 발생되는 것이다. 증상은 두통 및 식욕부진, 코막힘 등 감기 비슷한 증세와 요통, 소변 배설량이 증가할 수 있다. -냉방 시 실내외 온도차를 보통 5~9도정도로 맞춘다. *의복으로 체온조절이 가능한 범위는 10~26도이다. 10도 이하의 경우 난방.. 2023. 2. 20.
골절 환자와 심장 장애 대상자 간호 골절환자 간호 1) 골절의 개요 단순골절과 복합골절이 있다. 단순골절은 뼈 자체만 부러진 골절이며, 복합골절은 뼈뿐만 아닌 다른 주위의 조직(근육, 신경, 혈관 등)의 손상을 겸한 것이다. 골절치료법에는 붕대고정, 석고붕대, 견인, 내고정 등이 있다. 2) 도수정복 골절된 사지의 길이나 각도를 조정하면서 시술자의 힘으로 잡아당겨주는 방법이다. 3) 견인 a. 정의 : 끈, 활차, 무게장치 등의 신체 부위에 연결하여 뼈가 일직선이 되게 유지를 시켜 주는 방법이다. b. 목적 : 근육경련 감소, 정복과 정렬유지, 불구교정 및 예방, 치유기간 동안의 환부고정, 척추의 압박요인 제거 등이다. c. 견인환자의 간호 : 견인 후 24시간 이내에 혈액 순환장애 증상 관찰을 한다. (청색증, 냉감, 저림, 무감각 등).. 2023. 2. 20.
노인성 질병과 간호 의사소통법 1) 노인간호와 접근방법 노인에 대한 이해, 개별적 접근, 예방적 접근, 팀워크의 중요성이 있다. 2) 일반적 간호 노인 운동관리 시 주의점 - 운동금기 질환 및 투약상황을 확인한다. - 현재의 운동 수준을 파악한다. - 땀복이나 통풍이 잘되지 않는 옷은 착용하지 않는다. - 개인능력에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다. - 운동강도, 빈도를 서서히 증가한다. - 최대심박동수의 40~50% 정도의 아주 낮은 수준으로 시작한다. - 적어도 10분 이상은 준비운동을 한다. - 운동 중간중간 충분한 휴식 시간을 갖는다. - 빠르게 방향을 빠꾸는 운동이나 동작은 하지 않는다. 3) 음식물 제공 시 질식위험 예방, 주의점 - 삼키기 쉬운 자세로 앉은 상태로 상체를 약간 앞으로 숙이고 턱을 당긴 자세 (앉을 수 없을 .. 2023. 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