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

상처관리와 개인위생 상처관리 1) 상처드레싱 a. 드레싱의 원칙 ① 외과적 무균술 적용 ② 드레싱 순서 - 깨끗한 쪽에서 더러운 쪽으로 한다. - 원형일 경우 상처의 안에서 밖으로 한다. - 상처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한다. - 회음부 상처인 경우에는 앞에서 뒤로, 치골 쪽에서 항문 쪽으로 순서 한다. - 수술 부위에서 주변 피부 쪽으로 한다. - 배액 부위에서 주변 조직 쪽으로 한다. b. 드레싱의 목적 - 상처보호 및 상처 오염방지이다. - 상처부위 고정이다. - 국부적 약물사용이다. - 부종과 출혈 예방이다. - 상처의 배설물 흡수에 도움을 준다. - 신체적, 정신적, 심미적 안위도모를 한다. c. 드레싱시 주의사항 드레싱 교환으로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면 30~40분 전에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 후 시행한다. 미생물, .. 2023. 2. 17.
병원감염과 무균술 소독제의 조건 1) 용어 정의 오염 : 미생물이 숙주 내에서 증식하지 못하고 일시적으로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다. 정착 : 미생물이 숙주내에서 자리를 잡고 살고 있는 것이다. 감염 : 미생물이 숙주내에서 자리 잡고 살면서 인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불현성 감역, 현성 감염으로 나뉜다. 2) 감영병 발생인자 병원체 :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리케차, 클라미디아, 바이러스 등이다. 바이러스(여과성 병원체) : 가장 작다, 향체 검사, 항생제 치료 X, 인터페론 치료가능이다. 환경은 생물학적, 지리적, 계절적, 사회적 환경요인이다. 숙주는 생물과 무생물이 있다. 3) 중복감염 감염병을 앓고 있는 도중 또 다른 연관된 감염병에 감염되는 것이다. 4) 교차감염(외인성 감염) 환자나 병원 직원, 면회인 등 사람에서 사람, 사람에서.. 2023. 2. 16.
응급간호의 개요와 기본원칙 운반법 1. 응급처치 정의 및 목적 1) 응급처치의 정의는 예기치 않게 다친 사람이나 급성 질환자의 생명을 구조하고, 합병증 발생을 막기 위해 제공하는 즉각적이고 임시적으로 환자를 처치하는 것이다. 2) 응급처치의 목적은 생명구조나 질병이, 손상의 악화 방지, 동통 경감, 의미 있는 삶을 영위. 회복시키기 위해서다. 2. 응급 의료체계 -응급환자 발생 시 응급환자의 병원 도착 전 처치체계, 신속한 이송체계, 병원 진료체계, 통신체계의 유기적 연결체계이다. 1) 병원 전 처치단계로 환자의 상태에 따른 구급차 출동, 구급처치 및 병원 선택 등이 있다. 2) 이송단계로 응급환자를 현장에서 병원까지 이송하는 단계이다. 3) 병원진료단계는 병원에 이송되어 의료진에 의한 적절한 전문 진료를 받는 단계이다. 4) 통신체계는.. 2023. 2. 15.
치매관리와 원인 1. 치매의 원인 1) 감염성 질환은 뇌염, 수두증 등이 있다. 2) Vt B12 결핍증 뇌종양 질환 등이 있다. 3) 갑상선 기능, 저하증, 우울증 대사성 질환 등이 있다. 4) 경막하 혈증 외상 등이 있다. 5) 중독성 질환으로는 알코올중독 등이 있다. 6) 퇴행성 질환으로는 알츠하이머병, 뇌혈관 질환 등이 있다. *초기 치매 증상 -가족이나 동료들이 대상자의 문제를 알기 시작하나 혼자서 지낼 수 있는 수준으로 최근 기억이 저하되고, 시간, 지남력의 장애를 일으키고 단어 찾기를 힘들어하고 주의력 및 계산력 저하, 약간의 성격 변화나 우울증, 의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물건 둔 장소를 기억하지 못하고 자주 잃어버린다. -전화통화 후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고 반복되는 질문을 한다. -물건을 잃어버리고 .. 2023. 2. 14.
반응형